가을비가 내리고 난 후 아침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강원도 등 일부 내륙 산간 지역에서는 올가을 첫 서리가 관측되기도 했다.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요즘 같은 날씨 속에 찬바람을 잘 못 맞으면 심근경색 등 돌연사 위험이 커지므로 고혈압 환자는 물론 노인ㆍ아동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혈압 환자는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혈압이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찬바람을 맞으면 체온 보존을 위한 작용으로 혈관 벽을 수축시키는데, 이는 혈압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모자장갑착용

기온이 섭씨 1도 정도 내려가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수축기 혈압은 1.3mmHg 정도 올라간다. 기온이 섭씨 10도 정도 내려가면 수축기 혈압은 13mmHg나 올라가게 된다. 찬바람을 맞으면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피부의 혈관이 수축하면서 심장은 더 큰 압력을 가해서 전신에 피를 보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

이렇게 순간적으로 혈압이 오르게 되면 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도 올라서 평소에 약했던 혈관 벽 부위가 터져 뇌졸중이 올 수도 있고,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약해진 혈관도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혈전이 만들어지고 혈전이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중요한 혈관을 막아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같은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

추위에 노출되는 날씨 속에서 혈압은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

우선 기본적으로 외출할 때에는 체온은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옷차림에 신경 써야 한다. 잠깐 외출한다고 해서 가벼운 옷차림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신문 등을 챙기러 잠시 현관 밖을 얇은 옷차림으로 나가는 것도 좋지 않다. 또한 고혈압 환자는 외출할 때 모자, 장갑과 마스크를 준비해 놓고 착용하면 찬 바람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고혈압 환자는 혈압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 노력도 중요한데, 평소 짠 음식을 적게 먹고 칼륨이 많이 들어 있는 과일과 야채를 섭취해서 혈압을 낮추는 것이 좋다. 규칙적으로 혈압을 재보는 자기관리도 빼놓지 말아야 한다.

운동은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가벼운 조깅이나 속보 같은 운동을 꾸준히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하루에 30분 정도 1주일에 5일 이상 운동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자신이 좋아하면서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외부의 찬 바람에 갑자기 노출되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새벽 운동은 피해야 한다. 기온이 올라간 오후에 운동하거나 실내 운동이 추천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