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주)에어로테크가 5년 전 부터 개발하여 작년부터 판매 보급하기 시작한 뽁뽁이(에어캡)하우스용 비닐은 기존 하우스용 닐의 기능을 다 갖추면서 부직포나 보온덮개의 보온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사용 시 30~50% 난방비용절감, 터널적용 시 매일 새벽에 걷을 필요가 없으며 비용절감)


 창문용 뽁뽁뽁이(에어캡)과 비교하시는 분이 많으신데 절대 아닙니다. 
형태만 뽁뽁이(에어캡)일 뿐이지 기존 하우스용비닐과 같은 재질이며 일부는 더 강한물성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뽁뽁이(에어캡)형태를 갖춤으로써 빛의 산광율을 높힘으로써 생육촉진은 물론 식물이 직사광선에 의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성장하여 병충해에 강하고 소출이 증가하는 효과를 거두게 됩니다.(10 ~20% 소출증대 경북성주 농촌지도소 및 당사 제품 설치 후 조사결과)


화훼단지, 버섯재배사, 곤충사육장, 양계장, 작업장 등에 적용시에도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제품상담 연락처  010-4994-3079
제품상담밴http://band.us/@airotech



비료란?
 
(1) 질소(N)

질소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성분 중의 하나로서 광합성에 관계하는 엽록소(葉綠素)의 구성 원소이다. 또한, 체내 생화학반응(生化學反應)에 관여하는 효소·호르몬·비타민류등의 구성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질소가 식물체의 생장발육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질소의 시용은 엽면적을 확대시키고 초기의 전엽수(展葉數)를 증가시켜 엽면적의 확대에 의한 과실비대에 필요한 탄수화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수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질소가 부족하면 수체생장도 약하고, 개화가 되더라도 결실률이 낮으며, 과실도 발육이 불량하여 수량도 적고 품질도 좋지 못하다. 반면에,질소를 과다 시용하면 가지와 잎의 생장에만 동화양분(同化養分)이 대부분 소비되어 식물체가 도장(徒長)되고 꽃눈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질소가 부족하면 세포내용물(細胞內容物)의 농도가 낮아지므로 조직이 허약하게 되어 동해(凍害)를 입기 쉽게 되며, 병에 대한 저항성이 약화된다. 그리고 착색(着色)의 주요 요소인 당()과 결합하여 가지와 잎이 생장하는 데 이용되므로 착색이 불량해지고 과실 내 당의 함량이 감소되며 숙기(熟期)도 늦어진다.

배에서는 생리적 낙과(生理的落果)가 그리 심한 편은 아니나 질소의 과다는 생리적 낙과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질소와 수분이 과잉될 경우 많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의 합성에 이용되어 가지와 잎의 생장이 왕성하게 되는 반면, 과실에 공급될 탄수화물이 부족한 상태로 되어 배()의 발육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2)
인산(P₂O5)

인산은 핵단백질(核蛋白質)의 주요 구성분으로서 각종의 생화학반응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호흡작용(呼吸作用전분(澱粉)이나 당합성(糖合成) 및 분해(分解) 등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산은 화기시원체(花器始原體)의 발육 초기나 개화기 및 수정기 전후에 많이 흡수되고 새 가지나 잔뿌리 등 생활작용이 왕성한 어린 조직 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산은 가지와 잎의 생장을 충실하게 하고 탄수화물의 대사(代謝)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인산 그 자체가 단백질의 합성에 중요한 성분이 되기 때문에 수량 및 착과수(着果數)를 증가시키고,단맛을 많게 하는 반면 신맛을 적게 하여 과실의 품질을 좋게 한다.

또한 인산은 성숙을 촉진시키고 저장성을 좋게 하는 데 유효하게 작용한다. 과도한 인산의 사용은 길항작용에 의하여 철의 결핍증을 유발시킬 염려가 있다.

(3)
칼리(K₂O)

칼리(K₂O)는 식물체에서의 생리적 기능이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이온상태로 세포의 액포(液胞)중에 존재하면서 체내 pH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시키고, 탄수화물대사·호흡작용·광합성작용·단백질합성·엽록소생성 등에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리가 부족하면 전분 등 고분자탄수화물(高分子炭水和物)의 양이 감소되고, 환원당(還元糖)의 양이 증가되며, 호흡작용이 왕성해진다.

또한, 직접적인지 간접적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칼리의 부족은 광합성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확실하여 일기가 불량한 때 칼리를 많이 시용하면 전분의 생성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조부족(日照不足)을 보충할 수 있다고 한다.

 
다량 요소와 그들의 역할  
 
우리가 농사하며 작물을 키울 때보다 중요한 것은어떤 작물에 어떠한 성분의 비료를 얼마만큼 주어야 되는가?’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작물이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생육하는 데 필요한 양식인 여러 가지 비료 성분들을 알아야 한다.  

작물은 유기물로서 그 성분이 산소, 탄소, 수소로 되어 있으며 이들이 작물체 전체의 96%를 이룬다. 산소는 탄산가스로부터, 탄소는 광합성에 의한 탄산가스로부터, 수소는 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유기물의 축적이다. 그러므로 작물체의 구성 성분의 약 96%가 공기와 물과 태양 광선으로부터 얻게 되고 나머지 4%가 비료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실제로 유기 농법에서 각종 유기질 비료를 사용할 때는 작물의 종류와 그 작물의 생육 단계나, 토양의 상태, 기상 조건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고 있다.
작물에 비료를 어떻게 흡수시킬 것인가, 어떤 비료를 언제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생각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사항은 작물도 생물이라는 점이다. 생물은 생물체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양분을 흡수하지 못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생물체의 상태를 좋게 하여 양분의 흡수나 광합성 작용, 호흡이 충분히 되도록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동물은 모든 에너지원을 외부로부터 섭취하지만 식물은 내부에서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탄산가스와 물을 원료로 탄수화물을 합성한다. 이 대기 중의 탄소가 식물과 일부의 미생물에 의하여 탄수화물로 고정되는 작용을 탄소 동화 작용 또는 광합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식물 성장을 위한 대부분의 중요한 영양소는 토양 속에서 화학적인 요소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영양소는 다량 요소(질소, 인산, 칼리, 마그네슘, 칼슘, 유황)와 미량 요소(지극히 작은 양이기는 하지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원소)로 분류할 수 있다.
산소와 탄소와 수소는 다음에 명시된 바와 같이 많은 양이 필요된다.
다른 요소에 비하면 보다 적은 양일지라도 상호간에 특수한 비율을 요구하고 있다. 어느 한쪽에 영양소를 너무 많이 투여했을 때 다른 한쪽이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칼리질 성분 과용은 토양 중의 마그네슘 흡수를 저지시키는 요인이 되며 결국 마그네슘 결핍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미량 요소와 그들의 역할
 
 
 
식물 생육에 필요되는 양은 지극히 적지만 또 한편 없어서는 안 되는 영양소들이다. 주로 중요한 미량 요소들은 철, 아연, , 망간, 붕소, 그리고 모리브텐의 여섯 종류를 들 수 있다.
유기 농법에서는 이 모든 요소들이 우리가 사용하는 잘 발효된 유기질 퇴비나 다른 유기질 물질에 들어 있기 때문에 미량 요소 결핍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드문 일이다. 그러나 토양에 강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했거나 석회질 토양에 식물을 재배하였을 경우 미량 요소 중 철분과 망간, 붕소의 결핍 현상으로서 식물의 잎과 잎맥 사이가 황색으로 변하는 증상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미량 요소 결핍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적정량의 발효된 유기질 물질을 지속적으로 토양에 사용하는 길뿐이다. 그리고 혹 미량 요소 결핍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그 토양에 해초 유기질 비료나 액비를 사용하면 치료될 수 있다.  

 
 

 

 
① 질소 (N) :
질소는 작물에 가장 중요한 유기성분으로서 녹색식물의 엽록소 단백질 및
각종 분열조직과 종자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根瘤菌(근류균)
갖는 콩과식물 이외의 작물에서는 비료로서 대량을 필요로 하게된다.
   결핍증상 : 작물의 잎이 담록화 ~ 황화되며 잎이 작아지고 작물전체의
                    생장 및 발육이  저해됨. 또한 뿌리의 발육을 빈약하게 하며
                    종실의 성숙이 빨라지고 수량이 적어지게 됨.
   과잉증상 : 세포막이 얇아지고 연해짐 ⇒ 결과적으로 식물이 가뭄이나
                    저온, 기계적 상해 및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짐.
☞ 일반적으로 다량의 질소는 C/N()을 저하시켜 개화를 지연시키거나
                     하며 그 정도는 다음과 같이 작물에 따라 다르다.

Nitronegative crops
(질소음성작물)
질소가 많을수록 개화 지연
, , 알팔파, 레드클로버 등
Nitropositive crops
(질소양성작물)
질소가 많을수록 개화 촉진
옥수수, 수수, 담배 등
Nitroneutral crops
(질소중성작물)
질소공급에 영향 없음
메밀, 대마, , 완두, 채두 등


 
② 인(P) :
인은 식물의 세포핵 분열조직 및 포스폴리라제(Phosphorylase)와 같은
식물의 생리상 중요한 요소의 구성요소이며 호흡작용, 광합성, 전분과
당분의 합성-분해, 질소 동화 등에도 관여하며 이런 조직과 종자에
많이 함유되어있다. 인은 또  뿌리의 발육을 촉진한다.
   결핍증상 : 뿌리의 성장 정지. 작물의 암녹색化. 심하게 결핍될 경우
                    식물이 적색을 띄게되며 잎이 생장이 부진하고 아랫잎 부터
                    말라 떨어지게 될 수도 있음. 과실류는 조직이 괴사하며
                    산미(酸味)가 강하고 당도가 적은 불량과가 됨.
   과잉증상 : 때로는 조직 내에 인산철을 형성하여 철의 생리작용을 방해
                    하기도 함.
☞ 인산은 토양 중에서 이동이 적고 용탈(溶脫)도 적기 때문에 기비(基肥)시용(施用)하는 것이 좋다.
 
③ 칼륨(K)
칼륨은 질소 인산과는 달리 작물의 단백질, 엽록소, 지방, 탄수화물 등과
같은 유기물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그러나 칼륨은 작물 체내에 많이 함유
되어 있고 주로 단백질-탄수화물의  형성, 광합성  작용, 세포내의  수분
공급 및  증산에  의한  수분  상실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여러  가지
산소작용의 활성제(activator)로서 작용한다.
   결핍증상 : 잎에 갈색반점이 생김 ⇒ 그 증상이 심해지면 잎의 조직이
              말라죽음. 결과적으로 식물체가 연약해지고 아랫잎 부터 말라
              떨어짐. 또한 뿌리의 신장이 나쁘고 뿌리썩음병이 일어나기
              쉬우며 과실의 비대가 쇠하여지고 맛, 외관 모두 나빠짐.
   과잉증상 : Ca Mg의 흡수가 저해되어 결핍증을 나타냄.
 
 
④ 칼슘 (Ca) - 석회 :
칼슘은 세포막의 구성요소이고 잎이 많이 존재하며 체내에서 이동하기는
어렵다. 단백질의 합성, 物質轉流(물질전류)에 관여하며 질소(NO)의 흡수 및 이용을 돕는다. 체내의 유해한 유기산을 중화하고 알루미늄의 과잉흡수를 억제하며 그 독성을 줄여준다. 분열조직의 생장, 뿌리 끝의 발육과 작용에 불가결한 성분이다.
   결핍증상 : 뿌리나 눈()의 생장점이 붉은 색으로 화하여 죽게되며
    뿌리의 표피에 콜크층이 생기고 뿌리가 짧고 굵어짐.
    과수류, 과채류의 당도저하 및 과실불량.
   과잉증상 : 토양 중에 석회가 과다하면 마그네슘, , 아연, 코발트,
     붕소 등의 흡수가 심히 방해되어 결핍증을 나타냄.
☞ 현재 산성화된 토양의 중화제로 석회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석회는
    수분과 결합하여 응고가 되기 때문에 토양의 배수와 통기를 저해한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일제 칼슘제를 도입 사용하기도 한다.
 
⑤ 마그네슘(Mg) - 고토 :
마그네슘(苦土)은 엽록소의 구성원소이며 잎에 많고 체내이동이 용이하다.
광합성 작용과 인산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고 종자내의
지방질의 집적을 돕는다.
   결핍증상 : 黃白化現象(chlorosis)이 일어나고, 줄기나 뿌리의 생장점
     의 발육이 저해됨. 산성토양이나 또는 석회를 과다하게 施用(시용)했을
     때에 결핍증장이 잘 나타남.
   과잉증상 : 아직 밝혀지지 않음
 
⑥ 철(Fe)
철은 호흡효소의 구성성분이며, 엽록소의 형성에 관계한다.
   결핍증상 : 어린잎부터 황백화하며 葉脈(엽맥)사이가 퇴색함. Ni, Cu,
     Co, Cr, Mo, Mn, Ca등의 과잉은 철의 흡수이동을 방해하여 결핍상태
     를 일으킴.
   과잉증상 : 망간결핍증과 인산결핍증이 발생.
 
⑦ 망간 (Mn):
망간은 각종 효소의 활성을 높이고 동화물질의 합성분해, 호흡작용, 광합성
등에 관여한다.
   결핍증상 : 체내 이동이 잘 안되므로 결핍증은 새잎부터 나타나는데
    새잎이 황색으로 되며 잎이 소형이 됨.
    포도의 경우 과실의 착색장애 발생.
    토양이 강한 알칼리성이 되거나, 과습하거나, 철분이 과다할 때 결핍
    상태가 생김.
   과잉증상 : 잎선단에 갈색 ~ 자색의 소반점이 생기며 이 증상은 늙은
     잎에 나타나기 쉬움. 철 결핍증상이 나타나는 수도 있음. 사과의 경우
     에는 적진병 발생.
 
⑧ 붕소(B):
붕소는 촉매 또는 반응조절물질로 작용하며, 석회결핍의 영향을 줄여준다.
   결핍증상 : 분열조직이 갑자기 壞死(괴사, necrosis)하는 것이 특징임.
    사탕무의 속썩음병, 순무우의 갈색 속썩음병, 사과의 縮果丙(축과병)
    가 新硝枯死現象(신초고사현상), 포도의 果肉黑變現象(과육흑변현상)
    등은 붕소 결핍이 원인. 또한 붕소가 결핍되면 수정 및 결실이 나빠져서
    포도의 花振現象(화진현상)을 일으키고 질소 고정이 저해됨.
    과수류, 과채류의 과실불량.
    잎의 황화고사.  석회의  과잉,  토양의  지나친  산성화가  붕소결핍을
    일으키기 쉬움.
 
⑨ 유황(S):
   결핍증상 : 결핍되면 전체적으로 생장이 나쁘고 질소결핍과 비슷.
   과잉증상 : 토양을 산성화시키며 벼의 뿌리 썩음을 일으킴.
 
⑩규산 :
   결핍증상 : 경엽이 연약해지고 벼의 임실을 나쁘게 함.
   과잉증상 : 없음. 과잉증상이 없는 유일한 비료성분.
 
⑪아연 (Zn) :
   결핍증상 : 엽맥간이 황색이 되고 줄 모양으로 분명해진다. 황화는
     부터 시작하여 차차 중간 잎으로 미친다. 잎이 소형화함.
   과잉증상 : 갈색의 반점이 생김.
 
⑫구리 (Cu) :
   결핍증상 : 새잎의 선단부터 황백화하고 시듦.
   과잉증상 : 뿌리의 신장이 멎음.
 
⑬몰리브덴 (Mo):
   결핍증상 : 광엽인 것은 엽연이 안쪽으로 감아 컵모양이 됨. 세엽작물
    는 잎이 꼬임. 늙은 잎부터 증상이 나타남.
⑭염소 (Cl) :
   결핍증상 : 신아(새눈, 새싹)가 황화. 결핍하면 전분이 섬유가 되므로
    류는 품질이 나빠짐.
 
 

    길 항 작 용
    성 분 명
     상 조 작 용
질소. . 가리. 아연.
인산(P2O5)
마그네슘. 규소
칼슘. 마그네슘
가리(K2O)
붕소. . 망간
질소. 마그네슘. . 아연.망간
칼슘(CaO)
인산. 규소
질소.가리. 칼슘
마그네슘(Mg)
인산. 규소
질소.  가리. 칼슘
붕소(B)
 
칼슘. 인산. 망간. 아연.
(Fe)
가리
칼슘. 인산. 질소. 가리. 망간
아연 (Zn)
 
. 망간. . 마그네슘
모리브텐(Mo)
인산. 가리
칼슘. 질소. . 인산
(Cu)
가리. 망간. 아연


 
()
 
1. 비료의 성분과 작용
 
 
 
1) 질소 (N잎거름): 풀 나무 동물의 배설물 등이 썩은 것
 
 
? 작용 : 식물의 생육에 가장 중요하며 비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효과가 현저하다.
 
     - . 줄기를 무성하게 하고, 뿌리. 열매의 성장에도 꼭 필요하다.
 
        광합성도 왕성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세포의 원형질이나 엽록소도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이다
 
      암모니아형태(NH4-N)로 흡수된 질소는 당을 분해해서 여러종류의 단백질이 합성된다.
 
       질산형태(NO3-N)로 흡수된 질소는 식물체내에서 암모니아 형태로 전환된후 이용된다.
 
 
? 결핍증상: 잎의 색채가 연해지고 작아지고 묵은 잎부터 누렇게 변하며 말라간다
  줄기가 가늘어지며 곁가지가 적게 퍼지며, 키가 크지 않으며 생육이 정지한다.
 
 
 
? 과다증상: 잎이 매우 진해지고 얇고 넓어지고
 
                    줄기는 지나치게 신장하고 약해지며
 
                    개화나 결실도 나빠지고
 
                    연약해져서 병의 피해를 쉽게 받게된다.
 
 
 
? 대표적 비료: 깻묵, 퇴비 ...
 
 
 
? 시비방법: 뿌리에 직접 닿으면 상해의 위험이 있으나 뿌리가 자라면서 닿는건 무방하다.
 
                    계분덩어리를 분제모양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고  
                    또 화학비료를 물에 녹혀서 잎이나 뿌리에도 줄 수도 있다
 
 
 
? 흡수율 : 질소의 흡수율은 토양박테리아가 왕성히 활동 할 때에 많이 흡수되는데 토양 박테리아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토양산도는 평균 pH6.5정도의 약산성 흙이다.
 
 
 
모든 나무는 내년에 피울 꽃몽오리가 전년도 여름에 만들어진다.
 
여름에 너무 많은 질소비료를 주면 가지만 자라고 꽃몽오리를 맺지못한다.
 
또 꽃이핀 뒤에 바로 비료를 주면 꽃은 사그라지고 다시 자라기만 한다.
 
비료 때문에 꽃몽오리가 싹으로 변하기도 한다.
 
사온 꽃나무가 꽃이 안핀다고 하는 것은 이 경우가 많다.
 
내년에 꽃을 많이 피우기 위해서는 전년도 여름에 비료를 주지말고 물도 조금 마르는 듯이 주면 나무가 죽는 줄 알고 놀래서 자손이나  많이 남기고 죽자하고 꽃몽오리가 많이 단다.
 
 
 
. 빨리 굵게 키울 식물은 꽃을 포기하고 질소질 비료를 주어서 기르면 된다.
 
제일 좋은 방법은 꽃이 진 다음 땅에 심어서 힘을 길러준 다음 봄에 다시 분에 심어서 꽃을 보는 방법이다. 또 어떤 식물은 자손을 남기기위해 몸부림을 치는데 갑자기 꽃대를 자르면 놀래서 다시 꽃대가 나올 수도 있다
 
 
 
2) 인산 (P 꽃거름, 열매거름) : 동물의 뼈  
 
 
? 작용 : 꽃눈의 형성을 돕고
 
             개화. 결실을 좋게하여 수를 증가시키고 꽃이나 과실의 생장을 빠르게 한다.
 
             세포분열을 활발하게 하고 발아력.을 왕성하게 한다.
 
           - 길항작용: 마그네슘의 흡수를 돕는다.
 
? 결핍증상: 늙은 잎의 엽맥에서부터 생기를 잃고  암록색으로 된다.
 
             줄기나 엽병이 자색(紫色)으로 되고 뿌리 줄기 잎의 양이 감소하고,
 
             성숙이 늦어져 개. 결과(結果). 상태도 나빠진다.
 
 
 
? 과다증상식물이 덧자라나 관상 가치도 떨어지고,
 
              식물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서 쉽게 병해를 받게 된다  
 
 
? 대표적 비료: 계분, 골분 등
 
              골분 : 소 뼈나 모든 뼈를 가루로 만든것.
 
                    골분은 찌고 삶아서 기름기를 뺀것이 좋다
 
                    골분은 사료상에가면 판다
 
 
? 시비방법과수나무 . 열매 식물에 주는 비료이다  
 
             분의 위에 흙을 1cm 정도 넓이로 1cm정도로 파고 그 곳에 묻어주면 된다
 
             큰 분이면 3-4 곳 정도 묻어주면 되고 야생화 분이라면 2군데 정도면 된다.
 
 
 
? 흡수율 : 토양산도 pH5~8 사이에서 잘 흡수되며 그 이상과 이하에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인산은 핵산, 핵단백질, 인지질 등의 성분이 되므로 세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세포분열이나 유전현상을 지배하기도 하며, 광합성이나 호흡작용 등의 대사과정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기도 해서 물질의 합성, 분해반응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3) 가리 (K뿌리거름) : 가리는 풀 벼짚 나무 등을 태운 까만 재
 
                     가리비료는 거기에서 울어난 물로 알카리비료이다.
 
 
? 작용 : 뿌리나 줄기를 튼튼하게 한다.
 
          산성화 된 토양을 알카리로 바꾸어 주는 역활을 한다.
 
         *산성화: 땅이 굳어서 물과 공기가 막혀서 죽은 땅 
 
          식물의 광합성(탄소동화작용)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
 
          칼륨은 햇볕의 양(일조량)이 적은 조건에서도 거름 효과가 높다
 
          칼리는 세포막을 두텁게 하며 줄기, 잎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병해에 대한 저항성이나 내한성을 높여 준다.  
 
            
 
? 결핍증상: 뿌리의 신장이 나쁘고, 늙은 잎의 선단()부분이 갈변한다,
 
             엽은 암록색으로 되어서 생장이 정지되며  오래된 엽의 주변에 황색의 얼룩이 생기며 곧 갈색으로 되어 말라버린다.
 
             뿌리의 신장도 나뻐지고
 
             과실도 비대하지 않게 된다.
 
 
? 시비방법 , 나무, 풀을 태운 재에 물을 부어 울어나게 해서 가끔 주시면 뿌리가 튼튼해져 잘자란다
 
             논이나 밭에 태운 재를 뿌리는 것도 이런 이치이다.
 
 
 
? 흡수율칼리는 토양산도에 가장 영향을 적게 받는 영양소이나
 
             산성이 강해질 경우 보다 왕성히 흡수되는 경향이 있다.              
 
 
 
질소와 함께 식물이 많이 흡수하는 요소이나 카리의 생리작용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질소, 인산이 식물체를 만들고 있는 구성성분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에 비해서
 
카리는 식물체내에서 이온(ion)의 형태로 존재해서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의 합성, 분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형질구조의 유지, pH, 침투압조절 등의 작용을 해서 많은 생리작용에 관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광합성을 촉진해서 줄기나 뿌리를 튼튼하게 하고 건조, 추위, 병해에 대한 저항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도 있다.
 
 
 
4) 칼슘 (Ca 석회분  생장점)
 
 
 
? 작용 : 식물 분열조직, 뿌리의 생장점 발육을 돕는다.
 
         칼슘은 식물의 세포막을 강건하게 하고 세포내로 들어가는 해로운 물질을 막아주며
 
         체내에 축적되는 노폐물(특히 수산과 같은 유기산)을 제거하기도 한다.
 
 
 
? 결핍증상: 식물의 생장점, 그 부근의 잎, , 꽃봉오리가  말라죽고 생장이 억제된다.
 
            어린잎의 선단(맨 위쪽)이 희고 갈색으로 변한다.
 
            뿌리 및 줄기에 코르크화 현상(골다공증)이 나타난다.
 
  
 
? 대표적 비료: 식물성분 중에서 4번째로 많은 성분으로 토양과 식물체에 널리 존재한다.
 
               칼슘 함유물질로 소석회나 농용석회를 이용할 수 있다.
 
         * 농용석회(포장이나 배양토에 혼입하면)
 
                ㅡ토양이 중화되고 미생물에 의한 유기질의 분해가 촉진된다.
 
         * 석회 ㅡ지력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토양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의 인산·카리·규소등을
 
                 가용성으로 변화시켜 식물이 잘 이용하도록 한다.
 
 
? 흡수율 : 칼슘과 마그네슘은 알칼리성이 강해질수록 흡수되는 양이 많아진다
 
         * 칼슘. 마그네슘 - 토양이 산성화 되지 않으려면 있어야된다.
 
 
5) 미량요소 - 마그네슘(Mg). (S). . 구리. 아연. 망간. 붕소. 몰리브덴.
 
            : 새 흙으로 바꿔야되며 우리가 임으로 줄 수는 없다.
 
              식물에는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영양분이다.
 
 
 
? 결핍증상주로 생장점(위쪽)부위에 나타난다.
 
                     잎이 누렇게 되면서 죽게된다 
 
 
 
? 대표적 비료: 새로운 흙
 
 
 
? 시비방법: 새로운 흙으로 갈아서 미량요소를 보충해 줘야된다.
 
            몇 년이고 같은 흙을 사용하면 미량요소 결핍으로 잎이 누렇게 되면서 죽게된다
 
 
 
6) 마그네슘(Mg) 엽록소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으로서 유일한 광물성 원소이다.
 
 작용 : 인산의 이동을 도와주며, 유지(油脂)의 합성을 도와준다.
 
 
 
? 결핍증상 : 엽록소의 생성이 불량하게 된다.
 
             오래된 엽의 가장자리(엽연부, 葉緣部)에서 엽맥사이가 황화(黃化)한다.
 
             과실이 달려있는 부근의 엽에서 결핍이 일어나기 쉽다.
 
 
? 흡수율 : , 망간, 붕소는 산성이 강해질수록 흡수되는 양이 많아진다.
 
 
 
2. 비료를 주는 목적과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
 
 
비료(肥料) 
 
   초화류나 화목류의 경우 葉의 생장 뿐아니라 꽃의 생육도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비료는 흙 속의 부족한 양분을 인위적으로 채워주는 것이므로
 
   한꺼번에 너무 많이 주게되면 오히려 식물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1) 비료를 주는 목적(目的)
 
  어떤 목적(많은 꽃, 과실 등)을 갖고 식물을 재배할 경우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토양조성이 이루어져야된다.
 
  식물이 필요로하는 시기에  토양이 갖고 있는 양분에 더해서 비료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비료를 주는 목적토양이 갖는 양분으로는 부족할 경우 또는 토양이 양분을 식물에 공급하는 속도보다 식물이 흡수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경우에 양분을 보충해서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토양의 조성이 식물에 있어서 아주 적당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라고 한다면 비료를 주는 것은 그 환경에서 식물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2)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식물의 필수원소)
 
  식물은 광에너지를 사용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물로 당()을 합성하는 광합성을 한다.
 
  무기물(無機物)에서 유기물(有機物)을 합성한 것이다.
 
  합성된 당()은 식물체를 만들고 있는 단백질, 지질(脂質), 탄수화물(炭水化物)등의 원료로 되거나 에너지로 축적하는 것으로 되고 이것이 필요에 따라서 분해되며 그때에 방출된 에너지가 식물체내에서의 물질합성이나 양분의 흡수운반에 사용된다.
 
  이 당()이 분해되는 과정을 호흡(呼吸)이라고 한다.
 
  뿌리에서 흡수된 양분은 식물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로 하자.
 
 
 
식물생육의 16 필수원소(必須元素)
 
   농작물 초화류 야생초 등 식물체를 화학분석해보면 수십 종류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그중 식물 생육에 없어서는 안될 16종류의 원소가 있다.
 
 
 
다량요소(多量要素) : 16종류 중에서 비교적 다량(多量)으로 필요로 하는 9가지 원소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인산(P), 카리(K), 칼슘(Ca), 마그네슘(Mg), 유황(S)
 
 
 
미량요소(微量要素: 미량이기는 하나 없어서는 안되는 7가지 원소  
                   망간(Mn), 붕소(B), (Fe), 구리(Cu), 아연(Zn), 몰리브덴(Mo), 염소(Cl)
 
 
 
* 그 외의 13종류의 원소: 13종류의 원소는 뿌리를 통해서 식물체내로 흡수되고 있다.
 
3) 비료(肥料)로서 주어야 할 성분
 
  어느 원소를 어느 정도 필요로 하는 가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토양 중에 식물이 필요로하는 분량 만큼 원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부족한 원소를 보급해서 식물의 생육을 건전하게 해주는 것이 비료이다.
 
 
 
* 망간, 붕소 등의 미량요소는 보통 토양이나 유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도로 충분하기 때문에 비료로서 별도로 줄 필요가 거의 없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 토양의 상태나 성질이 나쁠 경우는 결핍(缺乏)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비료로서 줄 필요가 있는 것은 다량요소(多量要素)의 질소, 인산, 카리, 칼슘, 마그네슘, 유황 등을 들 수 있으
 
  며 이중에서 질소, 인산, 카리가 특히 중요해 이것을 비료의 3요소라고 하고 있다.
 
  칼슘, 마그네슘은 양분으로서만이 아니라 토양이 산성으로 되지 않기 위해서도 중요한 성분이다.
 
  유황은 보통 비료의 제조상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NH4)2·SO4]이라고 하는 질소비료를 만들 경우 유황 성분이 약 24% 함유된다)
 
  유황성분의 시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결핍했다는 보고도 거의 없다.
 
  그러나 유황성분을 다량으로 시여(施與)하면 토양이 산성으로 되는 일이 있으니까 최근에는 유황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료를 많이 만들고 있어 앞으로는 유황성분의 비료를 줄 필요가 있을 지도 모른다.
 
 
 
3.시비(비료주기)의 주의점
 
   
 
  * 비료의 흡수 형태 - 질산태 비료 <<- 암모니아태 <<- 요소태비료
 
 
① 배양토: 토양의 조건에 따라 시비 방법이 달라진다.
 
          화분의 크기
 
② 식물의 종류, 상태: 식물의 상태(생장속도)에 따라 시비량의 결정
 
         개화기에는 시비하면 안되고 꽃이 진 후에 시비한다.
 
      * 봄에 2-3번 꽃이 진뒤에 약간만 주면된다
 
③ 계절: 온도 및 습도 통풍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여름과 겨울에는 대체로 시비를 줄인다.
 
      *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추는 여름이나 겨울철에는 거름을 주지않는 것이 좋다.
 
      * 특히 여름철에는 과습과 온도 상승에 의해 수분 증산이 많기 때문에
 
        거름기가 농축되어 장해를 일으키기가 쉬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꼭 줘야한다면 뿌리에 주는 거름은 삼가하고 잎에만 거름주기를 행하는 것이 좋다.
 
      * 옆면시비ㅡ비료결핍시 응급조치 방법
 
                 (비료를 물에 500배액 타서 잎에 살포한다)
 
      * 단 겨울에도 활동하는 식물은, 묽은 물거름을 가끔 주는 것은 괜찮다.
 
④ 유기질비료와 무기질비료의 적절한 배합이 필요하다. (염류장애- 비료염)
 
⑤ 비료의 배합비에 따른 시비방법 (N,P,K 의 구성비율 - 길항작용)
 
    성장, 개화, 열매맺음.식물의 종류.토양의 상태....등 목적에 맞게 배합해야된다.
 
 
 
⑥ 관엽식물과 꽃피는 식물에 따라 요구도를 달리한다.(생식기별)
 
* 질소성분이 높은 비료는 줄기가 연약하고 낮은 광의 실내에서는
 
    병해에 약하며 생식 생장(, 열매)를 위해 일을 하지 않으며 조경의 멋을 떨어트린다.
 
* 분갈이 후 곧바로 시비하면 뿌리가 상할 수 있으므로 1주일 이상 지난 후에 시비한다
 
 
거름의 종류
 
1.덩이거름ㅡ깻묵에 골분, 어분등을 섞어 발효시켜 동그랗게 빚은 고형비료, 질소분이 많다.
 
            마치 새알같은 크기로 만들어 비닐 봉지에 넣어 판매한다.
 
            물을 줄 때마다 거름이 분토에 스며든다.
 
2.마캄푸 K ㅡ인산분이 많은 화학비료이다.
 
             커피 알갱이처럼 작은 하얀 덩어리로 만들어져 프라스틱에 넣어 판매한다.
 
             역시 물을 줄 때마다 거름이 분토에 스며든다.
 
             비료의 효과는 6개월 정도이다.
 
3.하이퍼넥tmㅡ효과가 빠른 비료로 액체와 분말형이 있다.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직접 뿌리에 흡수되므로 너무 잦은 시비는 피해야 한다.
 
              비료의 효과는 10일 이내로 짧다.
 
 
 
 
 
 
 
비료의 길항작용
 
비료의 여러 성분들은  공존하는 과정에서 서로 흡수를 도와 효과를 상승시키거나(상승작용)과 서로 흡수를 방해해 효과를 반감시키는작용(길항작용)을 합니다.
식물재배시 식물이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양분 즉, 질소(N)나 인(P), 칼륨(K), 등등 간에는 서로 흡수를 방해하거나 흡수를 돕는 관계가 성립됩니다. 이런 관계에 따라서 양분결핍시 식물에선 겹핍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한편으로는 양분과잉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질소(N)는 칼륨(K)과 붕소(B)의 흡수를 억제하며 마그네슘(Mg)의 흡수를 돕습니다. 붕소는 다른원소로 부터 영향을 받을뿐 자기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며 인(P)은 철(Fe) 칼륨(k)과 구리(Cu)의 흡수를 방해하지만 마그네슘과 흡수를 돕습니다 .
(Fe)은 인(p)의 흡수를 방해하며 칼륨은 칼슘, 마그네슘, 붕소의 흡수를 억제하며, 철과 몰리브덴(Mn)의 흡수를 돕습니다 . 몰리브덴은 붕소와 마찬가지로 다른원소로부터 흡수의 영향만 받으며, 칼슘(Ca)은 마그네슘, 아연, 붕소, , 칼륨, 망간의 흡수를 방해하며 구리(Cu)는 철과 몰리브덴의 흡수를 억제합니다. 마그네슘은 칼슘,칼륨, 의 흡수를 억제하며, 인의 흡수를 돕고 아연은 철의 흡수를 억제합니다.

 
 
 

 
 
 
1. 길항작용
 
가리(K) → 칼슘(Ca), 마그네슘(Mg)
칼슘(Ca) → 마그네슘(Mg), 가리(K)
마그네슘(Mg) → 가리(K)
규산(Si) → 칼슘(Ca) 요소(NH4) → 가리(K)
(Fe) ↔ 망간(Mn)(상호길항성
(Fe) → 요소(NH4)
인산(P) → 황산 (So4) 
칼슘(Ca) → 아연(Zn)
염소(Cl) → 붕소(B)
(Fe), 망간(Mn), 요소(NH4), 황산 (So4)  → 몰리브덴(Mo)
(Cu) → (Fe)

 

2.
상승작용
가리(K) → 망간(Mn), (Fe)
인산(P) → 몰리브덴(Mo)
질소(N) → 마그네슘(Mg)
마그네슘(Mg) → 인산(P)
규산(Si) → 마그네슘(Mg)
칼슘(Ca) → 가리(K)
마그네슘(Mg) → 칼슘(Ca)

 
토양이 알카리성이 되면 망간, 붕소, 아연, , 철 흡수가 저하하고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쉬워집니다.
몰리브덴은 반대로 산성에서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철은 과습에서 나타나기 쉽습니다




출처 : (주)에어로테크
글쓴이 : 에어로테크 원글보기
메모 :




뽁뽁이(에어캡)비닐하우스 전문 생산기업 한국농업기술(주) 문의전화 1688-8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