뽁뽁이비닐하우스 밴드에 들어오세요.
http://band.us/@airotech
from. 에어로테크
시설토마토 재배관리
1. 서론
시설채소, 시설화훼, 시설과수 등 시설원예는 최근에 이르러 시설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농업의 여건에 비추어 볼 때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농업의 형태이다. 노지에서의 작물재배는 기후 및 기상 조건의 변동으로 인하여 재배환경이 작물생육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대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없으며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작물에 적합한 환경를 만들어 작물을 재배하는 시설재배 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2년 기준으로 약 53,963ha의 시설면적을 가지고 있는 세계적인 시설재배국가로 시설의 대부분은 프라스틱 온실이며 채소재배가 전체의 87.6%를 차지하고 있다.프라스틱 온실은 주로 논에서 이동식으로 설치하며 단동 터널형이나 연동 아치형이 많다. 시설의 자재로는 여전히 목재나 죽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각종 재해를 입는 경우가 많으며 피복자재 역시 보온성이 떨어지는 폴리 에틸렌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내부 골격으로 철재 파이프가 증가하고 있고 피복자재도 EVA, PVC 필름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시설재배는 90% 이상이 보온 위주로 운영되며 가온을 할 경우 온풍난방을 많이 이용하고 있고 관수시설은 주로 점적관수를 하며 분무호스(살수)를 이용한다.
유리온실은 1990년대 정부지원이 시작되면서 급격히 늘어나서 채소가 184ha(57%), 화훼류가 139ha(43%)를 차지하고 있다.
온실의 표준화사업을 병행하여 정부에서 유리온실 사업을 지원하였으나 1997년 이후 국가재정이 어려워지자 유리온실 지원사업은 거의 중단되었고 많은 유리온실 시설이 경영부실로 큰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이번 과제물을 계기로 0000에서 토마토 시설재배을 하고 있는 000 을 찾아가서 이곳저곳을 들러보고 시설재배의 현황과 개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2. 토마토 시설재배현황과 작물 특성
1)시설의 입지와 규모
00와 100중간에 입지하고 원에조합과 가까운 거리에 있어 시장성이 뛰어나고 연동을 남북으로 설치하여 햇볕 투광성이 좋고 밭에다 설치하여 장마철에 배수가 잘되게 되어있다.
한동에 180평에서 250평까지 8동으로 총 재배면적 800평정도로 30여년이상 시설재배를 2대째 하고 있다.
2) 시설의 형태 및 부대시설
시설의 형태는 단동형 온실로 되어 있고 피복재로는 폴리 에틸렌 필름(PE) 사용하면서 3년에 한 번씩 새 것으로 교체해 주고 있으며 온실의 내부 골격은 아연을 도금 한 펜타이트 파이프로 되어있다.
따로 보온시설은 기름을 이용한 온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냉방시설은 없다
분모호스를 이용하여 밭이랑에 연결된 관을 이용하여 관수를 하며 환기팬이 시설천창에 설치되어 있고 온실의 양옆 쪽에 폴리 에틸렌 필름을 말아 올려 환기창 역활을 하고 있다.
보통은 12월경에 폴리에틸렌 필림을 2중으로 피복하여 기온이 기온을 유지하고 온도가 일정하도록 전기장치가 되어있어 한겨울에는 보일러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어있다 겨울에도 햇볕이 따가우면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어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
농기계로는 관리기 두대가 있으며 그 외 필요한 트렉터나 파종기는 다른 곳에서 빌려서 사용하고 있으며 1톤 트럭 자가용은 도매시장에 출하에 이용하고 있다.
꽃의 분화를 위해 벌통을 5통을 가지고 있고 바로 옆에 창고을 가지고 있어서 그곳 에서 필요한 자재와 도구를 보관한다.
저장은 별따로 하지 않고 있으며 수확하는 대로 원협에 출하한다.
3. 품종의 작형 및 재배방식· 수확판매
1) 품종의 작형
이농가에서는 플러그 육묘을 이용하여 직접 모을 길러 사용한다. 품종은 수퍼선노드라는 신품종이다. 시작은 1월 상중순경에 파종하여 2월하순에 정식하고 4월상중순부터 수확하는데 특징적인 것은 수확시 일손이 부족하여 보통토마토만을 재배하며 각동마다 파종을 순차적으로 수확시기을 8월까지 조절하여 일손을 분산시키다는 점이다
2) 재배방식
토마토는 일반적으로 8~9절에 제1화방이 달리고 3엽씩 전개됨에 따라 화방이 발생된다. 각 화방은 상단화방일수록 꽃수가 많지만 보통 화방당 4~5개를 착과시키게 되며 수확단수는 재배기간에 따라 다르고, 단기간 재배시 6~8단을 이용한다 상당히 저온성인 작물로 밤 온도가 5~7℃까지 되어도 견딜수 있지만 10℃이하에서는 생육이 나쁘고 기형과 발생이 증가한다. 반대로 25℃이상의 고온, 또는 밤온도가 20℃이상이면 공동과, 낙화가 많아지고 품질도 나빠진다. 강광성 작물로 광포화점은 7만룩스 이상이며, 약광조건에서는 착색이 나쁘고 당 및 비타민C 함량도 낮아지게 된다.
토마토의 뿌리는 심근성으로 깊고 넓게 뻗으므로 건조와 적은 비료에도 잘견디고 반대로 공중습도가 높으면 회색곰팡이병이나 역병의 발생이 많아진다.
<표 1> 토마토 재배 현황 (단위:면적ha, 단수:㎏/10a, 생산량:M/T) * 자료 : 농림수산부
연도별 | 노지재배 | 시설재배 | ||||
면적 | 단수 | 생산량 | 면적 | 단수 | 생산량 | |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 493 569 678 516 598 593 216 323 | 2,918 2,795 3,162 3,076 3,218 3,218 3,327 3,663 | 14,386 15,902 21,440 15,873 19,245 19,080 7,187 11,830 | 1,992 1,932 2,423 2,946 3,021 3,324 3,828 4,340 | 3,180 3,855 3,962 4,325 4,285 4,749 5,636 5,370 | 63,337 74,472 95,998 127,409 129,458 158,333 215,756 233,054 |
3) 작물적 특성
토마토는 일반적으로 8~9절에 제1화방이 달리고 3엽씩 전개됨에 따라 화방이 발생된다.
각 화방은 상단화방일수록 꽃수가 많지만 보통 화방당 4~5개를 착과시키게 되며 수확단수는 재배기간에 따라 다르고, 단기간 재배시 6~8단, 장기재배를 할 때에는 15~20단까지 계속 수확할 수 있다. 과채류 중에서는 상당히 저온성인 작물로 밤 온도가 5~7℃까지 되어도 견딜수 있지만 10℃이하에서는 생육이 나쁘고 기형과 발생이 증가한다. 반대로 25℃이상의 고온, 또는 밤온도가 20℃이상이면 공동과, 낙화가 많아지고 품질도 나빠진다. 강광성 작물로 광포화점은 7만룩스 이상이며, 약광조건에서는 착색이 나쁘고 당 및 비타민C 함량도 낮아지게 된다.
토마토의 뿌리는 심근성으로 깊고 넓게 뻗으므로 건조와 적은 비료에도 잘견디고 반대로 공중습도가 높으면 회색곰팡이병이나 역병의 발생이 많아진다.
토마토의 재배기간은 재배시기, 작형, 경과온도 등에 따라 차이가 나게 된다. 중대형 숙과용으로는 풍생, 내병장수, 세계, 광복, 모모타로 등이 적당하고 방울토마토는 꼬꼬, 뻬뻬, 미니캐롤 등이 좋다
<표 1)> 토마토의 재배기간
구 분 | 육 묘 | 정식~수확 | 개화후 성숙일수 | 수 확 기 간 | |
단기재배 | 장기재배 | ||||
여 름 | 30~50일 | 50~60일 | 40~50일 | 3개월 | 6~8개월 |
겨 울 | 60~70일 | 100~120일 | 80~100일 |
이농가에서는 1년에 한번 재배를 하며 파종에서 수확까지는 약 120일 정도 걸리며 파종방법은 전파을 하며 육모이식을 한다 물은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고 잡초관리는 멀칭과 풀매기를 이용한다. 비료는 알바트로스를 점적관수와 양액시설로 시비한다.
병충해는 천적과 친화경제품인 활화산을 공동구매로 사용하며 자재구입은 개인별과 공동구입를 둘 다 취하고 원협이나 농촌지도소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다.
4) 수확 및 판로
보통 오전에 수확을 하여 노란박스(일명콘테이너바스) 에 담아서 00원예공판장에 출하하게 된다. 이전까지는 개별출하를 하였는데 최근들어 공동출하 방식으로 바뀌었다.
수확을 한 토마토를 원예협동조합에 1톤 트럭으로 가져다주면 원예협동조합에서 상품을 상·중·하로 분별하여 박스에 포장까지 하여 판매하는 방식이다.
현제 상품 한상자(10kg)25.000원 정도의 경략가격이 형성되고 있고 연 10톤정도 수확을 한다. 연간 추정소득이 3.000만원 정도다.
토마토는 주요 과채류와 비교했을 때 단가는 약간 낮은 편이지만 단경기나 홍수출하기에 관계없이 연중 가격이 안정되어 있으며, 농가표준소득 또한 노지재배에서는 고추, 오이에 비해 높고, 시설재배에서는 고추보다는 낮지만 오이와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토마토는 단수증대와 품질향상 기술만 갖출 수 있다면 안정 소득작목으로 손꼽힐 수 있을 것 같다.
4. 재배상 문제점과 개선방향
1) 기상조건
생육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낮 온도가 25~27℃이고 밤 온도는 17℃정도이며 5℃이하에서는 생육이 정지되고 7℃이하에서 장기간 육묘할 경우에는 기형과 발생이 많아지고, 10℃이하일 때는 생육이 떨어진다. 30℃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광합성에 의한 생산보다 호흡에 의한 소비가 많아져서 생육이 나빠지고 꽃이 잘 떨어진다. 토양온도는 20~23℃가 가장 좋고 33℃이상이나 13℃이하가 되면 생육이 크게 떨어진다.
2) 토양조건
건조에는 비교적 잘 견디지만 보수력이 있는 양토 또는 식양토에서 생육이 좋고 건조되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수량이 낮다. 토양수분이 많을 경우에는 총수량은 증가되나 기형과가 많이 생겨 상품수량이 떨어진다. 토양산도는 적응범위가 꽤 넓지만 약산성(pH 6.5)이 적합하다. 배지경 양액재배를 하고자 하는 경우 pH는 6.0~6.5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3) 시설조건
온도보다는 광을 많이 요구하는 작물이므로 시설 설치시 주의하여야 하는데 첫째, 시설방향을 정할 때 단동은 동서향으로, 연동형일 경우는 남북향으로 설치하여야만 그림자가 적게 되어 품질 및 수량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둘째, 피복재는 광투과율이 좋은 재료를 사용토록 하며 내피복재는 색깔이 있는 재료를 사용치 않도록 한다. 셋째, 골조율이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넷째, 먼지를 일으킬수 있는 비포장도로 주변에 시설을 설치하면 외피복재에 먼지가 많이 묻어 투광율이 낮아질 수 있다.
4) 재배시 주의사항
(가) 활착 후부터는 가능한 한 물주기를 억제한다.
(나) 과번무시 적심, 적엽을 실시하여 화방에 햇빛이 잘 비치도록 하여 준다.
(다) 착과제는 토마토톤 100~120배액을 사용하되 꽃이 피었을 때 실시하고
고온기 처리나 중복처리는 피한다
(라) 병충해 발생에 주의하고 농약살포는 안전사용에 주의하면서 조기에
실시한다.
(마) 육묘하는 시기는 저온기이므로 기형과 발생이 많고 연작지에서는 시들음병에 의한
피해가 많다.
5) 개선방향
이 시설재배는 염류집적과 연작피해을 막기 위하여 종묘를 기르는 동안에 토양을 충분히 소독을 하여야 하며 직접 육묘을 길러서 농사에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의 실수가 1년 농사 를 망치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하며 뿐만 아니라 농가 자금의 윤활한 회전을 위하여 수 확하고 난 후 바로 연작을 하고 있어 그로인해 연작장해는 증가하고 결국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재배의 효율화를 위해 충분한 휴식기를 가져 휴식기중 시 설의 정비, 토양소독 등을 할 수 있고 시설간 작물의 순환체계(작부체계의 협력) 등을 이 룰 수 있도록 수확후 옥수수등을 재배하여야 하며 미생물이나 객토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 각한다.
또한 노농력이 절대 부족으로 인한 피로와 경영상의 애로가 많아서 협업경영을 통한 기계 비용의 절감, 유통의 효율화를 이루어야 하며 재배단지별로 유통협력관계를 이루게 되어
과다한 경쟁을 막고 안정된 수익을 위하여 인접한 시설재배 농가와의 교류를 통한 재배작물의 선정에 관심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
시설재배농가 경영주000 씨는 생물학과을 졸업하고 시설재배을 하고 있다
농사일을 부족한 일손 때문에 거의 혼자서 꼬박 하루종일 더운 하우스 속에서 작업을 하고있다. 이번 시설재배와 관련하여 정부의 충분한 지원과 함께 지속적인 관심이 더 요구된다.
※ 참 고 문 헌
1. 시설재배학, 2004, 이병일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 원예작물학 1- 체소 2006.1.20(3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3.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http://www.rda.go.kr
뽁뽁이(에어캡)비닐하우스 전문 생산기업 한국농업기술(주) 문의전화 1688-8013